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1

SMR, 작지만 안전한 원자로 탄소중립이 전세계적인 환경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면서 세계 여러 나라들은 이러한 흐름을 따라가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로 이런 흐름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만으로는 탄소중립을 실현하는데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중소형 원자로(SMR)이다. 세계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이 SM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탈원전'이라는 기존의 방침에 변화가 있는 것인가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현재 개발중에 있는 SMR중에서 미국 원자력 규제기관인 NRC(Nuclear Regulatory Commision)로부터 설계 인증을 받은 곳은 미국 원전회사인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의 SMR이 유일하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이 뉴스케일 파워의 SMR.. 2021. 8. 16.
임베디드 TCP/IP 스택의 심각한 결함, 산업용 제어 장치가 위험하다 임베디드 장치, 특히 산업 자동화용에 사용되는 장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취약점에 대한 인식이 지금처럼 자리잡지 않았던 시절에 개발된 내부 자체 코드와 서드파티 코드를 혼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드웨어 공급업체가 널리 사용해 온 여러 요소들에서 치명적인 결함이 발견되면 그 영향은 매우 크다. 게다가 패치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여러 시장조사업체가 내놓은 조사결과를 보더라도 이 같은 문제점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최근 "INFRA:HALT"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200여 개의 공급업체의 운영 기술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니치스택(NicheStack)이라는 사유 TCP/IP 스택에서 14개의 치명적인 취약점이 발견 되었다. 이로 인한 악영향을 받는 장치에는 지멘스 S7.. 2021. 8. 13.
LG의 아이폰 판매로 인한 예상 효과들 LG가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선언한지 4개월 정도가 흘렀다. 스마트폰 주 생산기지였던 베트만 공장은 이미 가전 생산라인으로 탈바꿈했다. 그랬던 LG전자가 애플 아이폰을 팔겠다고 선언하면서 여러 말들이 오가고 있는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LG전자는 자사의 전자제품을 파는 자회사를 가지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하이프라자의 LG베스트샵이다. 이 LG베스트샵에서 LG스마트폰이 빠진 자리에 애플 아이폰을 대체해서 유통시킬 예정이라고 한다. 대개 아이폰의 경우 자급제폰으로 판매가 된다. 자급제폰이라 함은 중간에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기기를 사서 본인 마음대로 통신 요금을 정하는 단밀기를 말한다. 현재 상황에서는 이 자급제폰을 사려면 애플 판매 매장에 가는 것이 가장 기본이다... 2021. 8. 12.
터치패드(Touchpad), 노트북 입력장치의 강자 1990년 초까지만 해도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도스'였다. 웬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듯이 단순히 텍스트(글자) 입력으로 모든 명령이 이루어지는 체계였다. 따라서 이때까지만 해도 컴퓨터 입력장치는 키보드 하나로 모든 것을 다 처리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컴퓨터 운영체제에 큰 변화가 생겼다. 바로 윈도우(Windows)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윈도우의 핵심은 바로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창과 메뉴였다. 이 체제에서는 "클릭"이라는 쉽고 간편한 행위로도 대다수의 입력행위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마우스라는 것이 키보드와 함께 PC의 표준 입력장치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런 입력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은 기존의 PC 뿐만 아니라 개인 노트북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다만 노트북의 장점인 휴대성이 강조되다 보니 .. 2021.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