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Chrome)은 구글(Google)에서 개발하고 있는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이다. 크롬의 원래 뜻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창틀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여기서의 크롬은 브라우저 틀 영역을 가리키며, 이 영역을 최소화시키려는 목적에서 이름을 크롬으로 지었다고 한다.
크롬의 역사
크롬은 2008년 9월 3일에 베타버전이 발표됐고, 12월 11일에는 정식버전이 출시됐다.
Apple이 개발한 WebKit엔진을 구글이 복제하여 만든 블링크 엔진을 채용하고 있다. 크롬 버전 27까지는 이 WebKit엔진을 그대로 사용하다가 버전 28 이후로는 WebKit엔진의 원소스를 베낀후 베껴낸 코드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구글에서 자체 개발한 블링크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배포 버전별 특징
1. Chrome Stalbe
크롬의 버전을 확인할 때 버전 번호 이후에 별도의 식별자가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오랜 기간 동안의 테스트를 거쳐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이나 성능보다는 주로 안정적인 사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버전으로 대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추천되는 버전이다.
2. Chrome Beta
안정화 버전과 개발자 버전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개 한 달 주기로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정식 출시전에 구글의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체험해 보려는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버전이다.
3. Chrome Dev
Chrome Stable 버전보다 한 단계나 두 단계 정도 앞서 있는 버전으로 주로 전체적인 변화를 테스트해보기 위해 사용된다. 대개 일주일마다 업데이트되며 이 버전에서 테스트하는 기능들이 일반 버전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개발자 버전이기 때문에 알 수 없는 오류나 안정화되지 않은 기능 등으로 인하여 데이터 손실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 Chrome Canary
Canary가 탄광에서 유독 가스에 대한 조기경보용으로 사용된 것에서 유래된 것처럼 이 버전은 위에서 언급된 세 가지 버전 이전에 배포되어 주로 개발자가 호환성 문제를 테스트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플러그인 충돌과 같은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런 높은 위험성이나 각종 버그들을 감수할 수 있는 얼리어답터들에게 적합한 버전이다. 기존 크롬 버전과 달리 노란색의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이 특징이다.
크롬의 특징
1. 구글서비스와 연동
구글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구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매우 연동이 잘 된다. 가령 구글 계정 연동을 강력하게 지원한다거나 구글 검색에서 이미지 검색을 지원하는 등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되지 않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2. 빠른 로드 속도
크롬이 사용하고 있는 블링크 엔진이 다른 엔진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속도가 빠른 편이기 때문에 웹페이지를 로드하는 속도가 최상위권에 속한다.
3. 간략화된 인터페이스
다른 웹 브라우저에 비해 인터페이스가 간략화되었고 웹 브라우저의 틀도 최소화시켜서 가독 범위가 늘어난 것도 특징이다.
4. 다양한 확장성
크롬은 각종 확장 프로그램으로 기능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롬 웹 스토어에 접속하면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이 있어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정할 수 있다.
5. 메모리 이용량이 많음
크롬은 각각의 탭마다 프로세스를 따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브라우저보다는 메모리 이용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대신에 이용중인 어느 하나의 탭이 뜻하지 않게 중지되더라도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다른 탭에는 전혀 영향이 없고, 탭을 종료하더라도 완벽히 종료되기 때문에 별도의 메모리 누수가 없다.
6. 탭 브라우징 기능
새 탭을 열때마다 즐겨찾기나 최근에 방문한 홈페이지 등을 표시해주는 특징이 있어서, 크롬에서는 새 탭을 열 때마다 무조건 chrome://newtab이 뜬다. 다만 확장 프로그램으로는 빈 페이지를 띄울 수는 없고 모바일 버전에서는 새 탭이 아닌 다른 사이트를 열 수 있다.
7. 자동 번역기 기능
크롬에서는 웹페이지의 언어를 자동으로 감지해서 해당 언어로 된 웹페이지를 모두 번역해주는 기능이 있다. 즉 웹브라우저 상단에 있는 번역 아이콘을 누르거나 또는 번역하고 싶은 페이지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만 누르더라도 번역이 실행된다.
크롬의 유용한 기능
1. 탭의 그룹화
PC작업을 하다보면 알게 모르게 많은 탭을 띄워놓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크롬에서는 재검색을 할 필요 없이 관련있는 탭을 그룹으로 묶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단 탭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새 그룹에 탭 추가'를 누르게 되면 그룹이 만들어진다. 이 그룹에 관련있는 탭들을 추가하거나 또는 추가된 탭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브라우저 왼쪽에 탭을 두는 고정 기능은 그룹을 지정할 수가 없다. 고정 시 그룹에서 분리가 되면서 탭이 고정이 된다. 그룹을 닫으면 다시 닫힌 탭을 열더라도 그룹으로 복구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탭이 열리게 된다.
2. 게스트모드
내가 사용했던 PC기록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지 않을 때에는 게스트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게스트 모드에서는 다른 프로필의 정보에 대한 확인이나 변경이 불가능하다. 또 게스트 모드에서는 검색기록이나 방문 기록 등이 저장되지 않는다. 단지, 다운로드한 항목이나 북마크는 저장이 된다. 크롬에서 게스트 모드를 사용하려면 크롬 화면의 우측 상단에서 내 프로필(사람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고 난후 나타나는 화면 하단의 '게스트' 메뉴를 클릭하면 된다.
3.그림이나 영상등을 빨리 열고 싶은 경우
그림이나 동영상등을 빨리 열고 싶을 때에는 해당 파일을 새로운 탭에다 드래그하면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기능등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미디어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렇다고 제대로 된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으로는 활용할 수 없고 빠른 자료 검색용이나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4.주소창을 계산기로 활용
주소창에 수식을 입력하면 간단한 계산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주소창에서도 일반계산기 기능을 사용할 수가 있다. 참고적으로 수식을 입력할 때 곱하기는 영어 x를 입력해도 계산이 가능하며 이외에 나누기는 /를, 제곱은 ^를 입력하면 된다.
5. PC로 보던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에서 보려고 한다면
PC에서 검색을 하던 중 관심있는 페이지를 다른 기기에서 보려고 하면 주소창의 링크 끝부분에 있는 회색의 노트북, 폰 아이콘을 클릭한다. 클릭하면 구글 계정에 로그인 된 내 장치나 링크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릐 목록이 보이게 되는데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면 페이지가 공유된다.
크롬의 시장 점유율
2021년 5월 기준으로 구글 크롬의 점유율은 69.8%에 이른다.
'상식및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2X - 차량과 사물을 이어주는 기술 (0) | 2021.11.19 |
---|---|
서피스 허브 - 대화면 멀티터치 태블릿 (0) | 2021.11.17 |
샌드 박스 시행후 혁신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다 (0) | 2021.10.12 |
데이터의 시각화가 필요한 이유 (0) | 2021.09.30 |
반도체, 미세화에서 패키징으로 진화하다 (0) | 2021.09.29 |
댓글